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2

분진 및 밀폐공간 작업과 관련된 KOSHA GUID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기술지침을 개발하고 있다. 금번에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과 KOSHA GUIDE의 연계성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분진 및 밀폐공간 작업과 관련된 KOSHA GUIDE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9장 분진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제10장 밀폐공간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과 관련된 KOSHA GUIDE는 다음과 같다.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보건기준 제9장 분진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제10장 밀폐공간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 제9장 분진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G-106-2013실리카 분진이 발생되는 작업 시의 안전보건에 관한 기술지침 H-118-2013곡물분진 및 곡분 노출 근로자의 보건관리지침 H-122-.. 2024. 2. 24.
밀폐공간 내 작업 시의 조치 등 “밀폐공간”이란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ㆍ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8에서 정한 장소를 말한다.   밀폐공간 내 작업 시의 조치 등 “유해가스”란 탄산가스ㆍ일산화탄소ㆍ황화수소 등의 기체로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말한다.“적정공기”란 산소농도의 범위가 18퍼센트 이상 23.5퍼센트 미만, 탄산가스의 농도가 1.5퍼센트 미만,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피피엠 미만, 황화수소의 농도가 10피피엠 미만인 수준의 공기를 말한다.“산소결핍”이란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8퍼센트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 밀폐공간 안전강화 내용1.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시기「(종전) ‘미리’ → (개정) ‘작업을 시작하기 전(작업을 일시 중단하였다가 재진입하는 경.. 2021. 8.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