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상조치계획 수립3 비상조치계획 수립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 가지 핵심요소; 1. 경영자 리더십 2. 근로자의 참여 3. 위험요인 파악 4.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5. 비상조치 계획 수립 6. 도급 · 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7. 평가 및 개선 비상조치계획 수립 중대재해 발생에 대처할 수 있는 비상조치계획을 수립하고 준비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위험요인을 바탕으로 ‘시나리오’ 작성 - 위험요인별로 어떤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검토 -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위험요인은 ‘재해 발생 시나리오’를 작성 - 다수의 사업장을 보유한 기업은 사업장마다 발생 가능한 재해 상황이 다르므로 사업장별로 재해.. 2023. 9. 15.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이행이란 일하는 사람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사업장 스스로 위험 요인을 파악해 제거·대체 및 통제 방안을 마련·이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의 특성에 맞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이행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게 중요하고, 안전보건 활동의 동기, 책임, 평가, 목표에 대한 패러다임도 다음과 같이 변화되었다.. ● 전통적 안전보건 활동 ● 안전보건관리체계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위험요인 파악 ❶ 위험요인에 따른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한다.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확인·개선.. 2023. 9. 2.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핵심요소 5/7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해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핵심요소 5(비상조치계획 수립) 관련 법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조치) 법 제4조제1항제1호에 따른 조치의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8. 사업 또는 사업장에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다음 각 목의 조치에 관한 매뉴얼을 마련하고, 해당 매뉴얼에 따라 조치하는지를 반기 1회 이상 점검할 것 가. 작업 중지, 근로자 대피, 위험요인 제거 등 대응조치 나. 중대산업재해를 입은 사람에 대한 구호조치 다. 추가 피해방지를 위한 조치 비상조치계획 수립 실행 전략 1. 위험요인을 바탕으로 ‘시나리오’.. 2022. 2. 1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