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불안전 행동2

재해원인 분류방식 기인물이란 재해를 가져오게 한 근원이 된 기계, 장치 또는 기타 물 또는 환경을 말한다. 불안전한 재해요소에는 불안전한 상태 및 불안전한 행동이 있다.   재해원인 분류방식 재해원인 1. 불안전한 상태 - 시설상의 불비로 안전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상태나 주변의 불충분한 환경, 즉 어두운 조명·소음·진동·분진·습도·온도 관계 등 객관적인 불안전한 재해요소를 말한다. - 여기서는 기인물이 되었던 일반 동력기계, 목재 가공기계, 동력 크레인, 동력 운반기, 운반차랑, 압력용기, 용접장치, 화학설비, 전기설비, 인력기계 및 용구, 건조설비, 가설·건축구조물, 유해 위험물, 재료, 적재물, 산업용 로봇, 환경, 기타에 관해서 판정기준에 따라 불안전 상태를 객관적으로 찾는다. 이때 재해발생 주요 원인이 사람에만 있.. 2024. 8. 10.
산업재해의 예방을 위한 형법의 역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그 발생‘원인’을 과학적인 차원에서 접근한 것은 하인리히(Heinrich)의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이 처음이었다. Reason은 불안전 행동을 의도 유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행동과 의도한 행동으로 구별하였고,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행위를 할 때 형법적 대응방식을 취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예방을 위한 형법의 역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그 발생‘원인’을 과학적인 차원에서 접근한 것은 하인리히(Heinrich)의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이 처음이었다. 이후 도미노 이론을 수정한 버드(Bird)의 신도 미노 이론, 리즌(Reason)의 스위스 치즈(Swiss Cheese) 모델, 도우허티(Dougherty)의 재해원인 구조, 미국 NTSB(Natio.. 2021. 3.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