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진폭발 예방2

분진 폭발 예방 등 가연성 분진(인화성 고체 포함)은 분진의 직경이 500 μm 이하(40 Mesh 표준체 통과)로 곡물분진, 탄소질 분진, 화학분진, 금속분진, 섬유분진, 플라스틱 분진을 말한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가연성 분진의 용어가 인화성 고체로 모든 조항에 일괄 변경되었다. 분진 폭발 예방 등 GHS제도 도입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시 가연성 분진의 용어가 인화성 고체로 모든 조항에 일괄 변경되었다. 현행 조항도 UN 위험물 운송권고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의 N. I 시험방법에 따르고 있다. 분진 폭발 가능성 인화성 고체 즉, 시험결과 분말상, 과립상 또는 페이스트상 물질이나 혼합물은 연소시간이 45초 미만, 또는 연소속도가 2.2 ㎜/s를 초과하거나 금속분말의 연소시간이 10분 이하인 물질로 금속분말, 알칼리금.. 2022. 5. 7.
분진폭발 5요소 및 예방대책 분진폭발 5요소는 기존의 폭발 3요소인 산소, 분진연료(Combustible dust), 발화원에, 부유분진(분진이 공기중에 떠다니고 있을 것)과 한정된 공간(공장내부 등)내에 있을 것이라는 2가지 조건을 추가한 것이다. 분진폭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질폭발의 5요소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분진폭발의 5요소 중 산소와 한정된 공간이라는 요소는 현장 여건상 제거하기 쉽지 않고, 나머지 요소들을 제거하여 분진폭발을 방지해야 한다. 분진폭발 5요소 및 예방대책 분진폭발 5요소 분진폭발 5요소는 기존의 폭발 3요소인 산소, 분진연료(Combustible dust), 발화원에, 부유분진(분진이 공기 중에 떠다니고 있을 것)과 한정된 공간(공장내부 등)내에 있을 것이라는 2가지 조건을 추가한 것이다... 2021. 2.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