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배경농도4

KGS GC101 희석등급 및 환기유효성 결정 KGS GC101에 포함된 희석등급 및 환기유효성 결정에 대해 적용상의 구체화를 위하여 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KGS GC101 희석등급 및 환기유효성 결정 폭발위험장소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순서대로 ① 누출 등급의 결정, ② 누출홀 크기의 결정, ③ 누출유량(누출특성)의 결정, ④ KGS GC101 희석등급, ⑤ 환기유효성 결정을 하고, 최종적으로 ⑥ 위험장소의 결정, ⑦ 폭발위험장소 범위의 산정을 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누출원별로 선정 및 결과를 계산하여 종합적으로 도면 등에 나타낼 수 있다. 금번은 ④ KGS GC101 희석등급, ⑤ 환기유효성 결정에 대한 적용을 기술하였다. 희석 등급의 결정 희석등급은 누출특성(Wg/ρ/k/LEL)과 환기속도(uw)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 2023. 3. 17.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공식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한 접근은 인화성 물질의 누출 시 일어날 수 있는 특성과 특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그 중에 희석을 위한 이론적 최소 환기량, 희석에 요구되는 시간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폭발위험장소 구분 관련 공식다음 내용은 대기조건에서 공기 중의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의 분포 및 희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일부 매개변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유용한 공식들이다. LFL 미만 희석을 위한 이론적 최소 환기량● 누출된 인화성 물질의 공기를 통한 희석신선한 공기의 흐름이 인화성 물질의 농도를 인화하한 값 미만으로 희석시키기 위한 이론적 최소 기량(Qa min) 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Qa min : 희석을 위해 요구되는 신선한 공기의 여론적.. 2023. 3. 12.
배경농도와 희석등급 실내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폭발위험장소의 범위에 영향을 주는 희석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배경농도를 산출할 필요가 있어 그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배경농도와 희석등급용어의 정의환기(ventilation) : 바람 또는 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영향이나 인위적인 수단(예를 들면 환풍기, 환기장치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이동시켜 신선한 공기로 치환시키는 것.희석(dilution) : 공기와 혼합된 인화성 증기 또는 가스가 시간이 지나면서 인화성(가연성가스) 농도가 감소되는 것.희석부피(dilution volume) :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안전한 수준까지 희석되지 않는 누출원 인근의 부피고려대상 부피(volume under consideration) : 고려대상이 되는 누출원 인근에서 환.. 2022. 8. 7.
희석등급의 결정 다음은 산안법 및 고압법, 액화석유가스법, 도시가스법의 적용을 받는 인화성 액체 및 가스시설 주변에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폭발위험장소의 종류의 구분 및 범위산정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다. 금번은 희석등급의 결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희석등급의 결정 희석등급구분 기본기준 1. 희석등급구분의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다. (1) 환기에 의하여 폭발성가스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지만, 형성된 폭발성가스분위기가 지속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누출유량 대비 환기량이 클수록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는 작아지고 폭발성가스분위기의 지속시간은 짧아진다. 누출유량 대비 환기효과성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폭발위험장소의 범위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아지므로 비폭발위험장소으로 간주할 수 있다. (3) 공기가 실.. 2021. 12.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