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3 황산 배관 파열로 인한 누출사고 황산탱크 하부 배관에 위치한 벨로우즈(PTFE 재질)가 파열되면서 황산(98%)이 비산된 사고가 있어 이에 대한 유해위험요인과 예방대책에 대해 공유하고바 한다. 황산 배관 파열로 인한 누출사고 황산의 위험성 • 급성 독성물질 • 금속을 부식시켜 가연성 수소가스를 발생할 수 있음 황산 주요 물성 및 경고표지 사고발생 설비의 계통도 사고 발생 설비 공정흐름도 사고 원인 분석 1) 황산과 철의 반응에 의한 배관 내부 과압 형성 • 2층에 위치한 분리반응기와 4층에 위치한 황산저장탱크 사이의 배관에 황산이 체류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어 황산염이 생성되었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로 인하여 배관 내부에 과압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 약 5년간 사용하지 않던 반응기 및 배관에 방치된 잔존 황산이 탄소강관 배.. 2022. 8. 14. 근로자의 휴식 그간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온열질환 예방조치로는 물, 그늘(휴게시설), 휴식 등 3대 기본수칙을 규정 하였으나, ‘휴식’ 부여·제공을 적용하기 어려워, 온열질환 위험에 노출되는 실내작업 근로자에게도 ‘휴식’을 부여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근로자의 휴식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66조(휴식 등) 사업주는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휴식하도록 하는 등 근로자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1. 고열ㆍ한랭ㆍ다습 작업을 하는 경우 2. 폭염에 노출되는 장소에서 작업하여 열사병 등의 질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개정 내용 ’22. 8. 10. 부터 시행되는 개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폭염에 의한 열사병 예방 가이드(실내작.. 2022. 8. 14. 열전달의 장애물 공정에서 증기의 열을 사용하여 운전을 하는데 증기와 피가열체 사이에 공기, 물, 스케일 등으로 인하여 효율이 저하된다. 열전달의 장애물 공기, 물, 스케일 등 공기, 물 및 스케일이 가열표면에서 어떻게 축적되는지 보여주는 다음 그림 1를 고려해 보자. 그림 1. 열전달의 장애물 공정에서 증기시스템 운전의 생산성과 비용은 모두 필연적으로 열이 증기에서 공정물질에 전달되는 방법과 관련되어 있다. 전열면의 피가열체 측에는 정체된 제품과 제품 위에 케이크화된 스케일막이 있어 정기적인 청소를 해야 좋은 열전달을 유지할 수 있다. 실제로, 기계적인 교반을 하면 정체된 제품을 표면에서 멀리 움직이게 하여 열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금속쪽으로 온도가 낮은 제품을 보내기 때문에, 높은 온도차이를 유지할 수.. 2021. 11. 3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