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끼임 재해 예방2

정비·보수작업 등 비정상·임시 작업 안전 비정상·임시(간헐적)로 이루어 지는 정비·보수작업 시 위험요인과 안전조치를 공유하고자 한다.. 정비·보수작업 등 비정상·임시 작업 안전 주요 위험요인 기계·기구·설비의 주 전원 미차단 상태에서 작업 중 끼임, 감전 위험 기계·기구·설비의 방호장치(덮개, 방호울, 연동장치 등)의 기능을 임의 해제하고 작업 중 끼임 위험 롤, 동력전달부 등 회전체 인근에서 점검 작업 중 끼임 위험 ※ 특히, 전원 미 차단 작업 또는 전원 차단 후 작업 시 다른 근로자의 전원투입으로 빈번하게 사고 발생 컨베이어, 산업용 로봇 등 자동으로 운전되는 설비 점검 작업 시 끼임 위험 크레인 상부 점검통로에서 점검 작업 시 끼임 위험 프레스 금형 해체·교체·점검 작업 시 끼임 위험 전기기계기구의 충전부 접촉 또는 누전에 의한 감전 위.. 2023. 3. 21.
끼임 재해 예방 끼임 재해란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들 사이 또는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 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이 끼이거나, 물리거나, 말려 들어감으로 인해 발생되는 재해 형태를 말한다. 끼임 재해 예방 국내 최근 몇 년간 업종별 끼임 사고사망자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재해의 약 80%가 제조업(64.7%), 건설업(15.6%)에서 발생하고 있고 작업내용별 끼임 재해형태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끼임 위험의 종류 협착점(Squeeze-Point) ▶ 왕복운동을 하는 동작부분과 움직임이 없는 고정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 예) 프레스 단조 해머, 펀칭기계, 압축 용접기 등 끼임점(Shear-Point) ▶ 기계의 고정 부분과 회전 또는 직선운동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 예) 연삭숫돌과 공구지지대 사이, 교반기의.. 2021. 6.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