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12

화재 분류별 소화방법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별로 적절한 소화방법을 알고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금번에는 화재의 분류, 소화의 원리, 화재분류별 소화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재 분류별 소화방법 화재의 분류 화재는 연소 특성에 따라 A급화재, B급화재, C급화재, D급화재 4종류로 분류한다. 1. 보통 화재(일반 화재): A급 화재 목재, 섬유류, 종이, 나무 플라스틱처럼 다 타고 난 이후에 재를 남기는 화재를 말하며 이런 화재를 일반화재 또는 보통화재라 한다. 2. 유류화재: B급 화재 휘발유 또는 석유와 같이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 액체는 프로판 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 류 화재 또는 가스 화재라 한다. 3. 전기 화재: C급 화재 변압기, 전기다리미, 두꺼비집 등 전기기구에 전기가 통하고 있는 기계나 기구 등.. 2022. 7. 6.
독성가스 취급시설 안전대책 독성가스나 급성독성물질 중 상온·상압에서 기화에 의해 유해성이 있는 독성물질을 저장, 취급또는 제조하는 사업장에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독성가스 취급시설 안전대책 설계 시 고려사항 (1) 독성가스관련설비는 사고예방 측면에서 본질안전개념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2) 공정안전설계 후 공정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추가적인 조치를 실행해야 한다. (3) 공정 위험성평가는 기본적으로 위험과운전분석(HAZOP)기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필요시 다른 정성적, 정량적 위험성평가 기법을 적용한다. (4) 국내·외 개별 독성가스 기준을 해당 가스의 안전설계기준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5) 공정 플랜지 또는 밸브 등의 누출 가능부분에는 국소배기후드를 설치하여 배출시설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6).. 2022. 7. 4.
산안법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작업장의 인화성 또는 독성 물질 누출을 조기에 감지 및 경보를 위하여 산안법에서는 가스누출감지경보기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가스누출감지경보기 1.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 1.1 인화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 (1) 감지대상 가스의 폭발하한값 25 % 이하에서 경보가 발하여지도록 정하여야 한다. (2) 2개 이상의 경보 설정형인 경우에는 1차(High) 경보는 폭발하한계의 25 % 이하에서, 2차(High high) 경보는 폭발하한계의 50 % 이하에서 경보를 설정하여야 하며, 필요시 차단밸브 등 다른 안전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인화성 가스누출감지경보의 정밀도는 경보 설정값에 대하여 ±25 % 이하이어야 한다. 1.2 독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 .. 2022. 7. 3.
고압가스법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 독성가스 및 공기보다 무거운 가연성가스의 저장시설에는 가스가 누출될 경우 이를 신속히 검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압법에서는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고압가스법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 독성가스 및 공기보다 무거운 가연성가스의 저장시설에는 가스가 누출될 경우 이를 신속히 검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 기준에 따라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이하“검지경보장치”라 한다)를 설치한다. 다만, 누출되어 공기 중에서 자기발화하는 가스는불꽃감지기를 검지경보장치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 동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1.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 기능 검지경보장치는 가연성가스나 독성가스의 누출을 검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함과 동시에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서 다음.. 2022. 7.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