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09 국소배기장치 환기량 산정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에 그 작업장에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가스ㆍ증기 또는 분진의 발산원을 밀폐하는 설비 또는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국소배기장치 환기량 산정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422조(관리대상 유해물질과 관계되는 설비) 사업주는 근로자가 실내작업장에서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에 그 작업장에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가스ㆍ증기 또는 분진의 발산원을 밀폐하는 설비 또는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분말상태의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취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429조(국소배기장치의 성능) 사업주는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별표 13에 따른 제어풍속을 낼 수 있는 성능을 갖춘 것을 설치.. 2023. 7. 13. Boiler Blowdown Boiler Blowdown은 보일러 용기에서 물을 강제로 배출하여 고농도의 불순물(TDS, total dissolved solids)을 방지하는 수처리 과정이다. Boiler Blowdown Boiler Blowdown 목적 보일러 블로우다운은 보일러 용기에서 물을 강제로 배출하여 고농도의 불순물(여러 화학물질, 침전물, 고형물 등)을 방지하는 수처리 과정이다. 이러한 보일러의 불순물을 총 용존 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s) 또는 TDS라고 한다. 이러한 불순물을 방치하면 보일러의 열전달을 방해하여 보일러의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과열되면 보일러의 수명이 단축되기 시작하고 압력 용기가 고장날 수 있다. TDS에는 부유 고형물과 용존 고형물이 모두 포함된다. 용존 고형물은 칼슘, 마그.. 2023. 7. 13. 반도체용 특수가스 공급장치의 위험성 반도체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특수가스는 대부분이 그 취급과정에서 가스가 누출되면 작업자에게 치명적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독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화재·폭발위험이 높은 가스에 해당한다. 반도체용 특수가스 공급장치의 위험성 반도체공정에 특수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캐비닛(Gas Cabinet)은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는 가스실린더를 가스캐비닛에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공급 시스템으로서 가스실린더에 충전된 가스의 충전압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수가스 공급 시스템 제조설비에 공급되는 가스는 제조공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공정가스(Process Gas)라고도 한다. 공정가스를 제조설비에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외곽 공급실 트레일러(Trailer)로부터 가스룸에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트레일러 가스공급 설비, ISO 튜브 .. 2023. 7. 9. LPG 안전공간 및 과충전방지장치 액화석유가스충전시설용으로서 지하에 설치하는 저장탱크에는 과충전을 경보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LPG 안전공간 및 과충전방지장치 저장설비의 안전공간 LPG저장설비는 온도상승에 의한 LP가스 액체의 부피팽창으로 용기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탱크나 용기에 LP가스를 충전할 때 다음과 같이 그 내부에 안전공간의 역할을 해주는 기상부가 확보되게 충전하여야 한다. (1) 소형저장탱크(저장능력 3톤미만인 탱크) 또는 용기에 LPG를 충전하는 때에는 LPG 액체의 용량이 상용의 온도에서 내용적의 85%를 넘지 아니하도록 충전하여야 한다. (2) 저장탱크(저장능력 3톤이상인 탱크)에 LPG를 충전하는 때에는 저장탱크가 용기나 소형저장탱크보다 내용적이 크기 때문에 온도상승에 따른 부피팽창.. 2023. 6. 20.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