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0 방전에 의한 점화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원인변수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고 그중 방전에 의한 점화에 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방전에 의한 점화는 정전기적 에너지가 방전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방전에 의한 점화 정전기 대전 등으로 물체나 공간에 전하가 축적되고 그 전하에 의해 형성된 전계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절연파괴를 일으키면서 파괴음과 발광을 수반되는 정전기 방전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전계 내부를 운동하는 전자와 기체 원자·분자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전자의 운동 에너지는 전계의 강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계가 커지면 전자는 기체 원자·분자와 여기나 전리 충돌 등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리현상으로 전자와 양이온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자가 전계에 의해 가속되어 .. 2024. 5. 19. 최소점화에너지 통제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원인변수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고 그중 물질과 관련된 최소점화에너지 통제에 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최소점화에너지 통제 최소점화에너지는 인화성 분위기에서 화염전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해당 계에서 부여되어야만 하는 에너지의 최소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지금까지 다양한 에너지원과 점화원을 활용하여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점화원은 전기 스파크이다. 측정방법으로는 용량성 방전형과 유도성 방전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용량성 방전형이 사용된다.최소점화에너지를 실험적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콘덴서(C)에 충전한 에너지를 전극 간에 방전시켜, 스파크가 발생하기 전의 콘덴서(C) 전압(V)을 측정하고, 최소점화에너지는 E=CV^2 /.. 2024. 5. 19.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 관리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 관리로서 화재·폭발 발생 조건, 가연성 분위기의 생성 방지, 점화성 방전의 발생 방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 관리 화재·폭발 발생 조건 정전기 장·재해 관점에서의 대부분 화재·폭발은 가연성 혼합 기체가 점화되어 시작하는 연소반응에 의한 화재·폭발이라고 볼 수 있다.따라서 연소범위 내에 있는 가연성 물질과 지연성 기체의 혼합 분위기와 그 가연성 분위기가 점화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는 정전기 방전, 즉 두 가지 요소가 존재할 때 화재·폭발 발생조건이 발생한다.정전기 관련 화재·폭발은 가연성 분위기의 통제가 어려운 공정에서 점화원의 통제가 불충분한 작업 시 발생하기 때문에, 가연성 분위기 생성을 방지하고 점화능력이 있는 정.. 2024. 5. 19.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원인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발생, 대전·방전 매커니즘 (Mechanism)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원인 원인변수 도출을 위한 분석모형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원인변수 도출을 위한 분석모형은 다음 과 같다. 원인변수 도출을 위한 분석모형(이미지 출처: KOSHA 연구보고서) 정전기 관련 중대재해·중대산업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다음 변수카드 양식을 활용한다. 재해·사고 변수카드 양식 물질 관련 원인변수물질 관련 원인변수로서 도전성, 최소점화에너지, 물성, 취급조건 등이 있다.특히 인화성 액체의 정전기 대전 영향 요인은 다음과 같다.- 이송속도: 비도전성 재질 호스 및 배관을 통하여 이송 시 유동대전에 의한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이송속도가 빠를수록 정전기.. 2024. 5. 1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