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ra2 작업위험성분석(JRA) 수행 작업 목록표의 작업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위험성에 따라 작업안전분석(JSA)을 할지, 기타 작업안전분석을 할지를 결정하는 작업위험성분석(JRA)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본 포스팅에서는 직무(Occupation) 목록 작성, 작업(Job) 목록 작성,빈도 및 강도에 따른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작업위험성분석(JRA) 수행 1. 직무(Occupation) 목록 작성 (1) 각 운영부서내의 모든 직무목록은 의 양식을 참조하여 필요한 사항을 사업장 여건에 맞게 작성한다. (2) 직무는 업무상 기능의 의미로 인력관리부서의 분류체계로 구축할 필요는 없으나 목록을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인력관리부서에서 작성한 자료를 기초로 작성할 수 있다. (3) 직무목록은 운영부서장 등 업무를 감독하는.. 2021. 2. 7. 작업위험성평가 관련 용어의 정의 작업 수행 과정의 작업행위와 관련된 잠재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안전작업절차를 마련하고자 작업 위험성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이해하고자 먼저 작업위험성평가와 관련된 용어의 정의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작업위험성평가 관련 용어의 정의 (가) “작업위험성평가 (Job risk assessment)”라 함은 모든 작업에 대하여 유해위험 요인(Hazards)을 파악하고 안전한 작업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작업위험성분석(Job risk analysis, JRA), 작업안전분석(Job safety analysis, JSA), 또는 절차서실행분석(Procedure implementation analysis, PIA), 사전작업위험 분석(Pre-task hazard analysis, PTA) 등 작업의 유해위험요.. 2021. 2.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