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S C IEC 60079-10-1:20155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 위험 지역 구분(1) 본 내용은 AP Asia Process Safety Engineer 이윤호님이 2015년 발표한 자료인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 위험 지역 구분 검토”를 소개하는 것이다. 현업 특히 전기∙전자 산업에서 근무하는 방폭 관련 Engineer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전자 산업에서의 폭발위험장소 구분(1) 폭발위험장소 국내∙외 관련 법규 및 기준 • 지속적으로 국내∙외 관련 법규, Code, Standard, Guide가 제개정되고 있으므로, 이를 현장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 •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소방법규 등에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사업장은 상세한 산업안전보건법을 위주로 적용하고 있음. •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안전조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2023. 3. 14. 안전밸브 등의 벤트 주변의 폭발위험장소 구분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을 적용할 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공유하고자 한다.KS C IEC 60079-10-1:2015 규격 적용시 안전밸브 등의 벤트 주변의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한 내용이다. 안전밸브 등의 벤트 주변의 폭발위험장소 구분안전밸브 또는 벤트에서 위험물질(인화성 가스, 인화성 증기 또는 가연성 증기)이 배출될 때 벤트 주변에 대한 폭발위험장소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폭발위험장소의 범위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에서는 벤트(안전밸브 벤트 포함) 주변의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 않는다. 다만, IEC 60079-10-1:2015의 Table B.1에서 안전밸브(압력방출밸브)에서의 .. 2022. 3. 17. KS C IEC 60079-10-1:2015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 적용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을 적용할 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공유하고자 한다. KS C IEC 60079-10-1:2015 규격 적용시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에서의 적용에 대한 제안이다.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에서의 적용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에서의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결정하는 부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검토하였다. 규격 적용시 문제점 KS C IEC 60079-10-1(2015)의 부속서 D의 그림 D.1에는 과 같이 고속의 제트(Jet), 저속의 확산(Diffusive), 무거운 가스(Heavy gas)와 같이 세 종류의 가스에 따라 누출특성(X)을 구한 후에 가스 종류에 해당되는 곡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좌측의 폭발위험지역 거리(단위, m)를 결정하도록.. 2022. 3. 16. 가스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규격의 비교 가스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규격에는 KS C IEC 60079-10-1:2015 , KGS GC101 , API RP 505 , NFPA 497 , EI 15 , IGEM/SR/25 등이 있어 이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가스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규격의 비교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은 기본적으로 액체 또는 가스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점누출원 접근법을 적용하고 있다. 다양한 누출원에 대한 누출률을 계산하고, 누출 특성을 구한 다음 환기속도 및 누출형태에 따라 도표를 사용하여 폭발위험장소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KGS GC101 규격은 기본적으로 KS C IEC 60079-10-1:2015 규격과 동일한 개념이다. API RP 505 규격은 설비의 종류 또는 공.. 2022. 3. 5.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