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RPG3 ERPG 및 ERPG-2 정량적위험성평가 시 독성물질의 끝점(End-point)을 적용하는데 금번 ERPG 및 ERPG-2에 대해 그 의미를 상세히 공유하고자 한다. ERPG 및 ERPG-2 근로자를 또는 생태계를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하게 지키려면 법적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작업장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 정상 작업에 대해서는 8시간 노출기준(TWA), 단시간 노출기준(STEL), 또는 천정값 (C)같은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업장에서 이런 정상적인 상태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여러가지 불안전 요소에 의해 크고 작은 화학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 즉, 사고 누출시 적용할 수 있는 미국 기준인 ERPG, AEGL, TEEL 등이 있고 이 중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 2023. 11. 2. 화학물질의 유해성에 대한 이해 "유해성"이란 화학물질의 독성 등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말한다. 금번은 인체의 건강과 생명에 유해한 정도를 나타내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물질의 유해성에 대한 이해 화학물질의 유해성이란? • 화학물질로 인하여 생물체, 특히 인체의 건강과 생명에 어느 정도의 유해한 정도를 미치는가에 대한 정도와 특성 • 유해성이 높은 화학물질은 직업병, 작업중 고농도 폭로로 인한 중대재해, 환경피해 및 이로 인한 민원 등 사업장 내부 및 외부의 문제를 야기시킴 독성물질 누출사고 사례 • 가스상태 독성물질의 다량 누출 시 상상하기 어려운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만일의 누출 시 누출농도와 피해범위를 미리 예측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율 감소조치, 만일의 사고시 .. 2023. 3. 1. 허용농도 vs. 치사량 유해화학물질의 인체 위해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중 노출에 따른 허용기준인 허용농도와 그 이상 노출 시 사망에 이르는 치사량이 대표적인 지표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유해화학물질(Harmful chemical substance)이란 급성 독성, 어독성, 변이원성, 발암성 등 일정한 지정기준에 의해 환경부 장관이 고시한 것으로 유독물질, 관찰물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중에는 독성이 대단히 강한 것과 독성은 그다지 강하지 않지만 오랜 기간 섭취함에 따라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있다. 분해되기 어렵고, 생물의 체내에 축적되기 쉬운 화학물질이 환경 속에 다량으로 방출될 경우 농작물이나 어패류에 가장 먼저 스며들게 된다. 인간이 이를 장기간에 걸쳐 섭취하게 되면 건강에 치명적인 영.. 2021. 1. 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