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흡수탑4 탑의 분류 탑의 분류 1. 용도에 의한 분류 1) 증류(정류)탑 증류탑은 다성분계의 원료를 가열한 후 탑의 중앙에서 하부의 적당한 위치에 넣고 증류, 정류를 행함을 목적으로 하며 증류탑, 정류탑, 분류탑, 증발탑, 스타빌라이저, 스트리퍼 등으로 불린다.. 증류조건의 온도는 최저 200℃정도에서 플러스 4~500℃까지 광범위하다. 압력은 상압(0~0.1 kg/㎠ G)으로 행하는 상압 증류, 감압(1~500 ㎜Hg Abs.)으로 행하는 감압증류(또한 감압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감압법-High Vacuum 법이 있다.), 탑 내에 다량의 수증기를 흡인하여 미가압 또는 미감압으로 행하는 수증기 증류 혹은 상압․감압 증류법과․ 병행해서 수증기 증류법이 쓰인다. 또 비점이 낮은 원료를 취급할 경우에는 수 기압에서 수십 기압의 .. 2022. 2. 5. 흡수탑(스크러버) 흡수제 선정 시 고려사항 흡수탑이란 기체를 액체에 접촉시켜, 기체 중 가용성(可溶性) 성분을 액상 중에 용해시키는 일련의 공정, 즉 ‘가스 흡수’를 목적으로 한 장치로써 이러한 장치를 주로 “스크러버(Scrubber)” 또는 “세정탑” 이라 통칭한다. 흡수탑(스크러버) 흡수제 선정 시 고려사항 흡수탑은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는 헤더(Gas collection header), 본체(Scrubber 및 충진재), 송풍기(ID Fan), 물분무 시스템(Water supply system), pH 조정시스템(Chemical feed system) 등으로 구성된 설비 일체를 말한다. 사용되는 액체는 주로 물(Water)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표면 활성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최종적으로 Mist가 인근지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2021. 7. 5. 스크러버(세정설비) 위험성 및 안전대책 배출물질의 일종인 폐가스 등을 처리하는 환경설비 중에 스크러버(세정설비)는 공정 및 생산설비 대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잘못된 사고(思考)로 인해 공정설비에 못 미치는 설비관리, 보전활동 수준 등 관리 소홀과 운전 실수, 설부 보수 중 내부 체류 인화성 가스에 인한 화재·폭발 및 중화 물질인 산 종류에 근로자가 폭로될 위험이 높다. 스크러버(세정설비) 위험성1. 불용성 탄화수소 미 제거 시 대기 중 폭발 분위기 형성○ 스크러버는 위험물을 처리하는데 기체와 액체를 향류 또는 병류로 접촉시켜 폐가스로부터 특정성분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공정으로 물을 흡수액으로 사용하는 흡수탑의 경우, - 흡수탑에서 불용성인 탄화수소(톨루엔 등)를 포함한 폐가스를 흡수 처리할 경우, 물에 용해되지 않은 톨루엔 증기가 흡수탑.. 2021. 3. 29. 스크러버(세정기) 설계 시 고려사항 스크러버(Scrubber)는 독성물질(염화수소 등)을 처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흡수 처리는 기체와 액체가 향류 또는 병류로 접촉하게 하여 폐가스로부터 특정 성분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스크러버(세정기) 설계 시 고려사항 스크러버 개요 스크러버(Scrubber)는 독성물질(염화수소 등)을 처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흡수처리는 기체와 액체가 향류 또는 병류로 접촉하게 하여 폐가스로부터 특정 성분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보통 기체와 액체가 향류로 접촉되지만 병류와 교차 흐름도 가능하다. 흡수 처리에 사용되는 흡수장치는 주로 4가지(충진탑, 다단탑, 분무탑, 벤추리)이며, 다음은 스크러버 일반 구조도이다. 유해·위험 요인 스크러버는 위험물을 처리하는 데 기체와 액체를 향류 또는.. 2021. 3.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