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2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2)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2) 위험장소 구분도의 작성 1. 일반 사항 위험장소의 종별 및 범위는 상기의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도면을 작성하기 위하여 명확한 공학적 판단으로 결정한다. (1) 위험장소 구분도는 인화성 액체의 누출원을 나타내는 도면을 말하며, 위험장소의 종별과 그 범위를 표기한 것이다. 도면의 일부는 밀폐 공간 또는 공정지역에서의 단일 누출원 또는 복수의 노출원에 적용한다. 각 누출원에서 위험장소의 최소한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도표 선정의 예를 찾을 경우, 그 범위는 다음 사항을 참조하여 정한다. (가) 설비의 수리, 정비 또는 누설로 인해 위험분위기가 자주 생성되는지 여부? (나) 인화.. 2023. 5. 26.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1)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인화성 액체의 취급장소의 위험장소 설정(1) 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절차 위험성평가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위험장소를 설정하는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장소 설정 절차 위험장소 설정 대상 검토 관련 설비에서 사용, 처리, 취급 또는 저장하는 물질이 인화성 액체에 해당된다면 위험장소의 설정 대상이 된다. 주) 가연성 물질이 인화점 이상에서 취급되는 경우에도 위험장소의 설정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관련 정보 수집 기 포스팅한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과 동일 https://sec-9070.tistory.com/1063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위험성.. 2023. 5.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