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장소 설정 절차2

폭발위험장소 구분을 위한 위험성평가 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국외 관련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누출원 기법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를 적용하여 폭발범위를 구분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폭발위험장소 구분을 위한 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 목적 및 방법 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국외 관련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누출원 기법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를 적용하여 폭발범위를 구분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모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평가 결과만으로 단순히 위험장소가 정확하게 구분되었다거나 잘못되었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작업 및 공정 변경이 추가된 기존 설비.. 2024. 10. 31.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천연가스(NG) 보일러실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절차 위험성평가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위험장소를 설정하는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장소 설정 절차 관련 정보 수집 1. 설비 목록 및 기존 설비의 이력 설비 목록 및 기존 설비의 운전 경험은 위험장소 설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자료 이므로, 해당 또는 유사 설비의 운전 및 정비 경험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설비의 운전(누출관련) 이력을 수집한다. (1) 누출 사례를 경험했는가? (2) 누출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 (3) 누출이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작동 중에 발생하는가? (4) 설비의 상태가 정상, 불안전 또.. 2023. 5.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