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화기구의 소화약제별 적응성2

소화기구 능력단위 및 선정기준 소화기의 능력을 표시하는 것으로는 소화능력단위가 사용되며 검정시험을 거쳐 능력단위를 인정받게 된다. 검정시험은 A급 화재 소화능력시험, B급 화재 소화능력시험을 실시한 결과에 의해서 능력단위를 인정하는데, C급 화재에 대한 능력단위는 없고 방사된 약제가 전기 절연성이면 C급 화재에 적응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소화기구 능력단위 및 선정기준소화기구에는 소화능력을 나타내는 능력단위가 표시되어 있다. 규정에 따른 시험에 의하여 소화기마다 능력단위가 부여된다. 소화기구의 능력단위는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충전되어 있는 소화약제의 양에 비례하지만 같은 양의 소화약제라 할지라도 보통화재(A급화재)인가 유류화재(B급화재)인가에 따라 능력단위는 달라진다. 다만, 전기화재(C급화재)에 대하여서는 전기화재에 사용할 수 있.. 2024. 6. 2.
화재 분류별 소화방법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별로 적절한 소화방법을 알고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금번에는 화재의 분류, 소화의 원리, 화재분류별 소화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화재 분류별 소화방법 화재의 분류 화재는 연소 특성에 따라 A급화재, B급화재, C급화재, D급화재 4종류로 분류한다. 1. 보통 화재(일반 화재): A급 화재 목재, 섬유류, 종이, 나무 플라스틱처럼 다 타고 난 이후에 재를 남기는 화재를 말하며 이런 화재를 일반화재 또는 보통화재라 한다. 2. 유류화재: B급 화재 휘발유 또는 석유와 같이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 액체는 프로판 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 류 화재 또는 가스 화재라 한다. 3. 전기 화재: C급 화재 변압기, 전기다리미, 두꺼비집 등 전기기구에 전기가 통하고 있는 기계나 기구 등.. 2022. 7.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