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위험장소2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천연가스(NG) 보일러실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천연가스(NG) 보일러실 위험장소 설정(1) 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절차 위험성평가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위험장소를 설정하는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장소 설정 절차 관련 정보 수집 1. 설비 목록 및 기존 설비의 이력 설비 목록 및 기존 설비의 운전 경험은 위험장소 설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자료 이므로, 해당 또는 유사 설비의 운전 및 정비 경험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설비의 운전(누출관련) 이력을 수집한다. (1) 누출 사례를 경험했는가? (2) 누출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 (3) 누출이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작동 중에 발생하는가? (4) 설비의 상태가 정상, 불안전 또.. 2023. 5. 23. KS C IEC 60079-10-1:2015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 적용 KS C IEC 60079-10-1:2015 규격을 적용할 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공유하고자 한다. KS C IEC 60079-10-1:2015 규격 적용시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에서의 적용에 대한 제안이다.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에서의 적용 누출 특성 하한값 미만에서의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결정하는 부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검토하였다. 규격 적용시 문제점 KS C IEC 60079-10-1(2015)의 부속서 D의 그림 D.1에는 과 같이 고속의 제트(Jet), 저속의 확산(Diffusive), 무거운 가스(Heavy gas)와 같이 세 종류의 가스에 따라 누출특성(X)을 구한 후에 가스 종류에 해당되는 곡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좌측의 폭발위험지역 거리(단위, m)를 결정하도록.. 2022. 3. 1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