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전방지3 정전기용 접지 및 본딩 방법 접지는 정전기의 방지대책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책으로서 물체에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누설, 완화시켜 물체에 정전기의 축적 또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정전기용 접지 및 본딩 방법정전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경로의 저항은 전하를 소멸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1 ㏁ 이하의 저항은 일반적으로 충분하다고 보며, 본딩/접지 시스템이 모두 금속인 곳에서의 접지경로 저항은 일반적으로 10 Ω 이하이다. 정전기 접지 vs. 전원 접지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전원접지가 되어야 하며 계측기와 접지간의 전위차이는 10 V이하 또는 1 Ω 이하가 되어야 한다.따라서, 접지는 설비 및 인체의 정전기를 흘러 보내기 없애기 위한 통로로써 모든 도체는 접지를 시켜야 하며, 또한, 다음 그림과 같이 전.. 2024. 3. 2. 접지 및 본딩에 의한 대전방지 접지는 정전기의 방지대책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책으로서 물체에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누설, 완화시켜 물체에 정전기의 축적 또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 및 본딩에 의한 대전방지 접지는 정전기의 방지대책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책으로서 물체에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누설, 완화시켜 물체에 정전기의 축적 또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전물체의 부근 또는 대전물체와 접촉된 물체에 정전유도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대전물체의 전위상승 또는 정전기의 방전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 및 본딩의 대상 (1) 접지의 대상은 금속 도체이다 (2) 다음 물체에는 그 표면에 금속도체를 접지전극으로 이용하는 간접 접지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전도도 1 × 10^-6 S/m 이상인 도체.. 2024. 3. 2. 정전기 재해 방지대책 우리가 보통 이해하고 있는 전기(電氣, Electricity)란 전하의 존재 및 흐름과 관련된 물리현상으로서 동전기를 의미한다. 이와 상대적인 개념으로 정전기(靜電氣, Static electricity)는 물체(주로 유전체)에 전하가 축적되어있는(대전된) 상태지만, 축적되어있는 전하 자체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전하는 항상 전기장에 의한 효과와 자기장에 의한 효과를 가지지만, 정전기는 전기장에 의한 효과가 클 경우다. 정전기 재해 방지대책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설비를 사용할 때에 정전기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설비에 대하여 확실한 방법으로 접지를 하거나, 도전성 재료.. 2021. 5. 2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