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스폭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2

정비·보수작업 등 비정상·임시 작업 안전 비정상·임시(간헐적)로 이루어 지는 정비·보수작업 시 위험요인과 안전조치를 공유하고자 한다.. 정비·보수작업 등 비정상·임시 작업 안전 주요 위험요인 기계·기구·설비의 주 전원 미차단 상태에서 작업 중 끼임, 감전 위험 기계·기구·설비의 방호장치(덮개, 방호울, 연동장치 등)의 기능을 임의 해제하고 작업 중 끼임 위험 롤, 동력전달부 등 회전체 인근에서 점검 작업 중 끼임 위험 ※ 특히, 전원 미 차단 작업 또는 전원 차단 후 작업 시 다른 근로자의 전원투입으로 빈번하게 사고 발생 컨베이어, 산업용 로봇 등 자동으로 운전되는 설비 점검 작업 시 끼임 위험 크레인 상부 점검통로에서 점검 작업 시 끼임 위험 프레스 금형 해체·교체·점검 작업 시 끼임 위험 전기기계기구의 충전부 접촉 또는 누전에 의한 감전 위.. 2023. 3. 21.
가스폭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 및 방지 기술 일반적으로 가스폭발은 가연성 가스나 증기가 공기와 혼합하여 기상부분의 용적이 크고, 밀폐 공간 상태에 있을 때 착화원이 존재할 때 발생하는 폭발 형태로서 공정의 설비, 파이프 그리고 빌딩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가스폭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 및 방지 기술 폭발의 정의 및 종류 일반적으로 폭발이란 고속의 화학반응으로 상 변화 등에 의해 순간적인 온도 상승 및 가스(증기)화가 발생하여, 기체가 고속으로 팽창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며, 최근 Jeo Louvar과 Dan Crowl은 “폭발은 급속하게 이동하는 압력과 충격파의 결과로 가스의 급격한 팽창이다. 팽창은 기계적(압력용기의 돌연한 파열 같은)인 팽창이거나 급격한 화학반응의 결과에 기인할 수 있다. 폭발에 의한 손실은 압력이나 충격파에 의해 발생된다”로 설명.. 2022. 3.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