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정에서 정상적인 물질/에너지 흐름의 불균형 또는 교란으로 인해 시스템 내부에 물질/에너지가 축적될 때 과압(Overpressure)이 발생하며, 그 원인 및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정시스템에 대한 물질 및 에너지 수지 분석이 필요하다.
과압으로 부터 용기나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할 때 내부 유체를 분출시키는 압력방출장치(Pressure relief device)를 사용하거나, 설정압력에 도달하기 전에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감압시스템(Vapor depressuring system)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출용량(Relieving capacity)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안전밸브 등의 작동 원인별 소요분출량(Required capacity)을 계산한 후 각 압력 상승 요인에 따른 소요 분출량 중 가장 큰 소요 분출량(이를 배출부하량(Relief load)이라 함)을 압력방출장치 등의 배출용량으로 선정한다.
배출량부하량 산출 및 벤트헤더 크기 설계
단위 공장(벤트헤더)별 소요배출량 산출
각 단위공장별로 각 안전밸브 등의 작동요인별 소요배출량산출 계산서를 작성한다.
과압 원인별 소요분출량 산출방법
압력방출장치 등의 배출 용량 산정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안전밸브 등의 다양한 작동원인을 파악하고 원인별 소요 분출량을 올바르게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고 API 기술기준 등에서 제시한 방
sec-9070.tistory.com
안전밸브의 소요배출량산출 계산서에서 각 벤트헤더로 배출되는 안전밸브 등을 선택하여 <표 1>에 안전장치 번호, 보호 기기번호, 설정압력 및 외부화재, 전원공급 중단, 냉각수공급 중단 또는 출구차단 등과 같은 압력상승 요인별로 배출되는 소요배출량 등을 기입한다.
각 단위공장(벤트헤더)에 대하여 외부화재, 전원공급 중단, 냉각수 공급 중단, 차단 등과 같은 압력상승 요인별 소요배출량의 소계 및 평균 분자량을 계산한다.
<표 1> 단위 공장(벤트헤더)별 소요배출량 산출내역
안전장치번호 | 보호기기번호 | 설정압력 (MPa G) |
소요배출량(kg/sec) | 비고 | ||||||||||||
외부화재 | 전원공급중단 | 냉각수공급중단 | 출구차단 | 기타 | ||||||||||||
배출온도 (℃) |
분자량 | 배출량 | 배출온도 (℃) |
분자량 | 배출량 | 배출온도 (℃) | 분자량 | 배출량 | 배출온도 (℃) |
분자량 | 배출량 | |||||
소계 |
총 배출량부하량 산출
전항에서 선택된 벤트헤더별 소요배출량에 대하여 <표 2>를 사용하여 외부화재, 전원공급 중단, 냉각수 공급 중단, 출구차단 등과 같은 압력상승 요인별 총 배출부하량의 합을 계산하여 이중 가장 큰 수치를 처리설비와 연결된 벤트헤더들(공통헤더)의 배출용량으로 한다.
<표 2> 총 배출부하량 산출내역
단위공장명 (벤트헤더명) |
총 배출부하량(kg/sec) | 비 고 | ||||
외부화재 | 전원공급 중단 | 냉각수공급 중단 | 출구차단 | 기타 | ||
총 계 |
벤트헤더 크기 결정
벤트헤더의 크기는 안전밸브 등의 후단에 걸리는 압력(배압)이 중요하다.
따라서 공장의 배치도면과 <표 1>의 단위공장별 소요배출량 산출내역을 참고하여 벤트헤더가 지나갈 수 있는 방향에 따라 주요 지점별로 모든 압력 상승요인에 의하여 안전밸브 등에서 동시에 배출될 수 있는 배출량을 결정하고, 모든 압력 상승요인별 분출량에 대하여 배출설비 끝단으로부터 안전밸브까지의 총 압력손실이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도록 벤트헤더의 직경을 조정하여 벤트헤더의 크기를 결정한다.
'공학 기술 > 공장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D 계기(Instrument) Symbol 및 Control Loop 소개 (0) | 2021.04.05 |
---|---|
스크러버(흡수탑)의 편류(Channeling) (0) | 2021.03.29 |
배출부하량 산정 절차 (0) | 2021.03.27 |
배출물질 처리 기술지침 (0) | 2021.03.26 |
압력용기 용접설계 (0) | 2021.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