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방화 및 내화 규정은 「건축법」 제50조, 제51조, 제52조, 제52조의2, 제52조의4 방화 및 관련 재료, 구조 등 기술적 기준을 확인하여야 한다.
방화・내화 규정 체계
관련 주요 법규
건축법 제50조(건축물의 내화구조와 방화벽)
①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공동주택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주요구조부와 지붕을 내화(耐火)구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막구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구조는 주요구조부에만 내화구조로 할 수 있다.
②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방화벽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건축법 제52조(건축물의 마감재료 등)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의 벽, 반자, 지붕(반자가 없는 경우에 한정한다) 등 내부의 마감재료[제52조의4제1항의 복합자재의 경우 심재(心材)를 포함한다]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하되,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5조 및 제6조에 따른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을 고려하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 것이어야 한다.
②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두 가지 이상의 재료로 제작된 자재의 경우 각 재료를 포함한다)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하여야 한다. 이 경우 마감재료의 기준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③ 욕실, 화장실, 목욕장 등의 바닥 마감재료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④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에 해당하는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窓戶)는 방화에 지장이 없도록 인접 대지와의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방화성능 등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방화규정 요약
Reference : 서울특별시 주택정책실 건축기획과, 2023년 건축물 피난・방화구조의 이해그림 해설집
'공학 기술 > 공장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화구조 기준 (0) | 2025.05.07 |
---|---|
내화구조 설치 대상 (0) | 2025.05.07 |
보일러 계통 Carryover (0) | 2025.04.22 |
RO Membrane 성능 저하 원인 및 관리 방안 (0) | 2025.04.18 |
보일러 수처리 최적화 (0) | 2025.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