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매유란 열을 전달하는 매체로 보일러, 히터 등으로 가열하여 화학공장 등 다양한 공정에 열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열매유 취급 설비 사고예방
열매유의 특성 및 위험성
열매체유는 인화점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 하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열매체유 펌프, 열매체유 이송배관, 열팽창탱크 등 열매체유 취급 장치 및 설비에서누출이 일어나고 스파크, 정전기 등의 점화원이 존재하면 화재·폭발이 발생되어 중대산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열매유는 높은 인화점을 가지고 있으나 공정특성에 따라 높은 온도로 운전하다 누출이 되는 경우 화재·폭발을 일으킬 위험이 있음
· 누출된 열매유가 보온재에 스며들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음
열매체유 (Heat transfer fluid) 위험성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956
열매체유 위험성
“열매체유 (Heat transfer fluid)”라 함은 수증기나 물 이외의 유체를 이용한 열교환기 등을 통하여 공정상의 물질을 간접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열매체유 위험성 열매체유(He
sec-9070.tistory.com
열매유 취급 시 안전수칙
1. 열매유 관리 :
- 산화, 열분해 고려하여 교체주기 선정 및 준수
2. 보온재 관리 :
- 셀룰라 글라스 등 비흡습성 재질 사용
3. 설비 유지관리 :
- 설비등급을 규정하고 주기적인 점검
4. 방호장치 관리 :
- 안전밸브, 팽창탱크의 레벨 감지 및 경보기 설치
5. 과열 방지 :
- 인터록의 점검 및 보수, 지속적 모니터링
6. 누출 예방 :
- 용접부(비파괴 검사) 및 배관연결부 지속 점검
7. 교육 훈련 :
- 정상운전 및 비상운전절차 교육 및 모의훈련 실시
열매유 취급 사고사례
1. 사례 1 : 열매유 팽창탱크 폭발
사고 개요 : 2022.1.21(금) 모 사업장에서 정상운전 중, 열매유 팽창탱크 누출로 열매유 팽창탱크 A 폭발 후 화재가 발생하여 팽창탱크 B가 2차로 폭발하여 인적 및 물적피해(사망 1, 부상 3, 설비소손)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다.
2. 사례 2 : 열매유 배관 누출 후 화재
사고 개요 : 2021.9.27(월) 모 사업장에서, 가동 중지되어 있던 열매유 보일러를 시운전 중 배관의 자동밸브 플랜지에서 열매유가 누출되어 화재 발생으로 물적피해(설비소손)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다.
Reference : 2025-전문기술실-101(신산업 사고예방 자료 3)
'화학물질관리 > 화학사고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소 화재폭발 사고예방 (0) | 2025.04.14 |
---|---|
집진설비 화재사고 예방 가이드 (0) | 2025.03.03 |
사고피해예측 (0) | 2024.12.04 |
화재폭발사고에 의한 피해 영향 (0) | 2024.12.03 |
누출의 발생원인과 피해 (1) | 2024.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