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정 및 화공안전/정량 위험성평가

정량적 위험성평가의 수행 방법(1)

by yale8000 2023. 7. 17.

정량적 위험성평가 수행(1) 위험요소 확인(Hazard identification), (2) 피해예측 분석(Consequence analysis), (3) 사고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4) 위험성 척도 계산 및 표현(Risk measure & Presentation)의 절차로 수행한다.

금번은 위험요소 확인(Hazard identification)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목

 

 

정량적 위험성평가의 수행 방법(1)

 

정량적 위험성평가의 수행 절차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1114

 

정량적 위험성평가 수행 절차

정량적 위험성평가(QRA)는 “불확실성과 피해를 조합한 위험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고 가능성과 손실을 경제적 손실 또는 인명 피해의 척도로 수치화하는 방법”으로 정의를 내릴 수 있

sec-9070.tistory.com

 

 

정량적 위험성평가 방법 국내 현황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량적 위험성평가 방법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 국내 정량적 위험성평가 현황

국내 위험성평가 현황

 

 

위험요소 확인(Hazard identification)

 

위험요소 확인 정성적 위험성평가로서 경우 공정 내에 잠재하고 있는 위험에 대해 확인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정량적 위험성평가 수행 중 위험요소 분석의 목표는 다음의 방법들을 통하여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그 중 가장 유익한 사고 시나리오를 발굴해 내는 것이 목표이다. 위험요소 분석에서는 모든 위험이 확인될 수 없으며 또한 모든 위험이 제거될 수 없다.

○ 체크리스트 (Check List)

○ 안정성 검토 (Safety Review)

○ 상대 위험 순위 결정 (DOW&MOND indices)

○ 예비위험분석 (Preliminary hazard analysis)

○ 위험과 운전 분석 (HAZOP : Hazard and Operability)

○ 이상 영향 분석 (Failure modes, effect & Criticality analysis)

○ 작업자 실수 분석 (Human error analysis)

○ 사고 예상 질문 분석 (What-lf)

 

이 때 사고시나리오의 개발은 공정에 대한 숙련과 경험, 상당한 지식을 요구한다. 즉, 공정에서 잘못된 점은 무엇이고 방출되는 유해물질의 상태(고체, 액체, 증기 등), 방출메커니즘(파열된 파이프, 저장 용기내의 구멍 등) 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Reference : KOSHA 연구보고서 "정량적 위험성평가(CPQRA) 방법 도입 방안 마련 연구"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