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치관리기준/보건관리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전략(AIHA )

by yale8000 2023. 7. 7.

미국산업위생학회(AIHA)의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과정과 건강위해도 평가에 대해 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

제목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전략(AIHA)

작업환경관리 전략 주요 단계

① 시작단계에서는 노출평가의 전반적인 전략을 수립

② 작업장, 노동력,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작업장의 기본특성을 파악

③ 기본특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고려하여 노출평가를 실시

④ 수집된 노출자료 및 건강영향 자료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추가정보의 우선 순위를 결정

⑤ 추가정보를 수집하여 불확실한 노출양상에 대한 판단을 높은 신뢰도로 해결

⑥ 노출을 수용할 수 없는 경우는 해당 유해인자의 위해도(Risk)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작업환경 개선 및 관리를 실시

⑦ 노출에 대하여 포괄적인 재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

⑧ 평가결과에 대한 유해성 또는 위해성 주지 (Hazard or risk communication) 자료의 유지 및 연계를 위한 문서화(Documentation)

 

 

미국산업위생학회(AIHA) 노출평가 전략

Source : * Bullock and lgnacio, eds, A Strategy for Assessing and Managing Occupational Exposure, Third Exdition, AIHA Press, 2006

 

 

AIHA의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전략

▶ 크게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며,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음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과정 (AIHA)

<그림 1>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과정 (AIHA)

 

 

1단계 : 노출등급결정

  - 노출등급은 직업적 노출기준에 대한 상대적인 노출수준의 추정

  - <1>은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에 대한 상대적인 노출양상의 산술평균 추정 근거

  - <2>는 직업적 노출기준에 대한 노출양상의 95 백분위수 추정의 근거

 

< 1> 노출양상의 산술평균 추정을 근거로 한 노출등급

등 급    
4 >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
3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의 50%-100%
2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의 10%-50%
1 <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의 10%

 

< 2> 직업적 노출기준의 95 백분위수의 추정을 근거로 한 노출등급

등 급    
4 >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
3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의 50%-100%
2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의 10%-50%
1 <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의 10%

 

 

2단계 : 건강영향 등급 결정

   - 각각의 유사노출군은 환경인자의 독성에 따라 건강영향 등급이 결정

   - 건강영향 등급 추정방법은 다양하며 평가대상 작업장에 적합한 방법을 선정

   - 화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소음, 방산선과 같은 물리적 인자와 생물학적 인자에 의한 병독성과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건강영향 등급을 설정할 수 있음

   - <3>은 미국 AIHA에서 사용하는 건강영향 등급의 예

 

< 3> AIHA의 건강영향 등급

등 급    
4 생명을 위협하거나 장해를 주는 재해나 질병
3 비가역적인 건강영향
2 심각하고 가역적인 건강영향
1 가역적인 건강영향
0 별로 중요하지 않은 가역적인 영향
알려져 있지 않거나 의심되는 가역적인 건강영향

 

 

3단계 : 건강위해도 등급 결정

  - 건강위해도 등급은 해당인자의 잠재적인 건강영향과 노출과의 함수

  - 건강영향등급에 노출등급을 곱하여 <그림 2>와 같은 결과 산출

  - <그림 3>의 건강위해도 등급은 우측 상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짐

  - 건강위해도는 1, 2, 3, 4, 6, 8, 9, 12, 16등급으로 분류되며 높을수록 관리의 우선순위

  - 위해도 등급 수에 따라 상대적인 비교만 가능

 

건강위해도 등급 산출

<그림 2> 건강위해도 등급 산출

 

건강위해도 순위 결정

<그림 3> 건강위해도 순위 결정

 

 

4단계 : 불확실성 등급 결정

  - 건강위해도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인용된 자료의 불확실성이 생성

  - 불확실성은 <그림 4>와 같이 건강위해도 등급을 상향 또는 하향 평가

  - 불확실성은 건강영향 자료 및 노출등급 신뢰성, 기존관리에 대한 타당성 함수

  - 미국 산업위생학회에서는 불확실성 등급을 단순히 세 개의 불확실성 범주

      (2­매우 불확실. 1­불확실, 0­확실) 중 하나로 평가

  - "2­매우 불확실" 등급은 노출양상이나 건강영향에 대한 중요 정보가 없는 경우

 

건강위해도 등급에 대한 불확실성의 영향

<그림 4> 건강위해도 등급에 대한 불확실성의 영향

 

 

5단계 : 추가 정보수집을 위한 우선순위 등급 계산

  - 건강위해도 등급과 불확실성 등급 선정 후 추가정보수집 우선순위 등급 계산

  - 건강위해도 등급과 불확실성 등급의 변수를 곱하는 것으로 계산 <그림 5>

 

추가정보 수집의 우선순위 (건강위해도 등급 &times; 불확실성 등급)

<그림 5> 추가정보 수집의 우선순위 (건강위해도 등급 × 불확실성 등급)

 

 

6단계 : 위해도 평가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 작업환경 및 노출관리는 항상 선택적

  - 해당 인자에 대한 건강위해도 등급이나 불확실성 등급이 결정되면 이에 따라 관리대책의 우선순위나 정보수집의 방향이 결정 <그림 6>

  -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수집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면 위해도가 높은 노출에는 일시적으로 개인보호구 지급과 같은 임시적인 단기간 관리가 필요

  -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건강영향 자료나 노출자료를 수집하는 것보다 건강위해도를 관리하는 것이 더 비용­효과적일 때는 즉시 관리하는 것이 필요

 

관리대책 및 정보수집의 우선 순위

<그림 6> 관리대책 및 정보수집의 우선 순위

 

Reference : KOSHA 작업환경관리 개론

 

 

728x90
반응형

댓글